
일러스트레이터로 작업을 하다가
단축키를 잘못 눌러
툴바며 패널들이 전부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툴바와 패널들의 방해 없이
큰 화면에서 작업물만 조망하고 싶은 때나
전체 화면으로 작업을 하고 싶은 경우도 있습니다.
일러스트 툴바가 사라졌을 때
보통 2가지와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실수로 화면 모드를 변경한 경우(단축키 F / 툴바 잘못 클릭)
2. Tab 키를 잘못 누른 경우
1. 화면 모드를 변경한 경우(단축키 F / 툴바 잘못 클릭)
작업을 하다가 실수로 F키를 눌러
화면 모드가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화면 모드 변경(Change Screen Mode)은
Shift나 Ctrl을 동시에 눌러야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에서 F키만 단독으로 눌러도 변경됩니다.
때문에 의도치 않게 F키가 눌려
툴바나 패널들이 사라 진 후
어떤 키가 눌려서 그렇게 된건지,
정상적인 화면으로 다시 돌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F키를 두 어번 더 눌러 툴바가 사라지는
전체 화면 모드를 빠져나오거나
더 간단하게는 ESC를 눌러 바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화면 모드 변경(Change Screen Mode)은
툴바에서도 접근이 가능한데
제일 하단의 창이 두개 겹친 것 같은
버튼을 눌러보면 됩니다.
하지만 실제 작업시에는 단축키 F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작업할 때 사용하게 되는 화면
즉, 일러스트의 툴바와 패널이 전부 나와있고
윈도우의 하단 작업표시줄도 정상적으로
전부 보이는 화면 모드가 Normal Screen Mode 입니다.

여기에서, 단축키 F를 누르면
Full Screen Mode with Menu Bar(메뉴바가 남아있는 전체화면)
→ Full Screen Mode(완전 전체화면)
→ Normal Screen Mode(일반 화면) 의 순서대로 변하게 됩니다.
① F를 한 번 누르면
Full Screen Mode with Menu Bar
메뉴바와 열려 있는 패널들은 모두 남아 있는 상태에서
윈도우 작업 표시줄만 사라진
전체화면으로 변합니다.

② F를 두 번 누르면
Full Screen Mode
일러스트의 하단 상태표시줄만 남긴 채
ToolBar와 Panel이 전부 사라진 전체화면 모드가 됩니다.

③ F를 세 번 누르면
Normal Screen Mode(일반 화면)로 되돌아 옵니다.

④ 프리젠테이션 모드 (단축키 : Shift + F)
파워포인트에서 슬라이드쇼 모드를 실행한 것처럼
툴바나 일러스트 상태바 없는 완전한 전체 화면을
원한다면 툴바에서 Presentation Mode 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Shift + F 를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대지 자체가 모니터의 비율에 맞게 정돈되며
완전히 작업물에만 집중할 수 있게 변합니다.
만약 대지(Artboard)가 2개 이상이면
키보드의 좌우 방향키로 넘겨가며
각 아트보드의 작업물을 볼 수 있습니다.
⑤ 화면 모드의 활용
화면 모드는 우리를 당황 시킬 때만 쓰이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툴바와 패널들의 방해 없이
큰 화면에서 작업물만 조망하고 싶은 때,
(=큰 그림이 어떻게 되어가나 보고 싶을 때)
혹은 전체 화면으로 방해 없이
작업을 하고 싶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 모드 전환은 일러스트 이외에도
포토샵에서도 똑같이 활용 할 수 있습니다.
2. Tab 키를 잘못 누른 경우
툴바가 갑자기 사라졌다면
Tab키를 잘못 눌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툴바가 사라졌으면 당황하거나 헤매지 마시고
우선 Tab키를 눌러 보세요.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 될 수도 있습니다.

'한입일러스트레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러스트 비율에 따라 선 굵기 변경하기 - Scale Tool 활용 (0) | 2021.08.18 |
---|---|
일러스트 대지 기본 색상 바꾸기 - 문서 설정(Document Setup) (0) | 2021.08.17 |
일러스트레이터 둥근 모서리 만들기 - Ctrl 활용 (1) | 2021.08.15 |
일러스트레이터 단위(mm) 바꾸는 법 - 자(ruler) 이용 (0) | 2021.08.13 |
일러스트레이터로 물결 만들기 - 이펙트(Effect) 지그 재그 활용 (0) | 2021.08.11 |
댓글